정전협정 체결
[1953. 7.27]
유엔군사령관(Mark W.Clark)이 NLL설정
[1953. 8.30]
북한은 「조선중앙연감」발행 시 황해남도 지도에 NLL과 일치하는 군사분계선을 표시하여 NLL을 인정
[1959]
군사정전위 제168차 회의에서 북한은 '북한 함정이 NLL을 넘어간 적이 없다'고 하여 NLL존재 사실을 인정
[1963]
서해사태 발생
(북한이 의도적으로 43회에 걸쳐 침범)
[1973.10~12]
북한 적십자사가 수해물자를 우리에게 인도하고 복귀하는 과정에서 군함으로 구성된 양측의 호송선단이 NLL선상에서 인수 및 인계
[1984. 9.29~10.5]
남북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서
(제2장 11조)
"남과 북의 불가침 경계선 및 구역을 1953년 7월 27일자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에 규정된 군사분계선과 지금까지 쌍방이 관할하여 온 구역으로 한다."
[1991]
국제민간항공기구(ICAO)에서 한국의 비행정보구역(FIR) 변경(안) 공고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발효 시 및 발효 후에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음
[1993. 5]
제1연평해전 발발
[1999. 6.15]
북한이 '조선서해해상분계선'을 일방적으로 설정
[1999. 9. 2]
북한 조난선박을 구조하여 NLL상에서 송환
[2001. 1.18]
항로 착오로 월선한 북한선박을 NLL상에서 인계
[2002. 6.20]
제2연평해전 발발
[2002. 6.29]
대청도 해상에서 좌초된 북한선박을 NLL상에서 인계
[2002.12.11]
대청해전 발발
[2009.11.10]
천안함 피격사건 발생
[2010. 3.26]
연평도 포격전 발생
[2010.11.23]
북한 서해함대 세력을 감시/차단하는 군사적 요충지
전시 북한 해상 교통로 차단으로 북한 전쟁지속능력 감소
서북도서와 NLL은 불가분 관계 : NLL 없이 서북도서 방어 불가
구분 | 소계 | 경비정 | 어선 |
---|---|---|---|
2003 | 21 | 5 | 16 |
2004 | 20 | 10 | 10 |
2005 | 14 | 7 | 7 |
2006 | 21 | 11 | 10 |
2007 | 28 | 8 | 20 |
2008 | 24 | 7 | 17 |
2009 | 48 | 23 | 25 |
2010 | 93 | 17 | 76 |
계 | 269 | 88 | 181 |